본문 바로가기
IT 꿀팁/안드로이드 스튜디오

[androidstudio] 프로젝트 구조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는 했는데 이게 뭐지? 하는 비개발자 필독

by IT자니 2022. 11. 27.

AndroidStudio 프로젝트 구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일단 설치는 했는데 이게 다 뭐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화면

이중에서 특히 이 자료구조를 알아봅시다

 

자료 구조

AndroidStudio 자료 구조

 

1. app : 소스코드

2. Gradle Scripts : 옵션, 라이브러리 등 빌드에 필요한 정보

 

app 폴더

app

1. manifests : 앱과 관련된 기본적인 설정 (패키지에 관련된 설정, 앱 백업, 아이콘, 이름, 런쳐 아이콘, 테마, activity 선언부, 권한 명시 등)

2. java : 동작을 정의하는 파일

  2-1 (android test)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로 테스트

  2-2 (test) 테스트

java에 폴더가 너무 많아서 깔끔하게 축약해 표현하고싶다면

설정 > Compact Middle Packages
톱니바퀴 모양 클릭 > Compact Middle Packages 체크

3. res : 리소스 파일(앱 이미지 파일, 화면, 앱 아이콘, values값등)

themes.xml 파일이 두 개인 이유

themes
themes.xml은 일반모드
themes.xml (night) 는 다크모드

gradle 폴더

Gradle

: 빌드 프로세스를 자동화 해 주는 툴 (ex: 어떤 라이브러리를 사용할지 설정)

 

1. build.gradle : 프로젝트의 빌드 내용

  1-1 id : 라이브러리 사용할거 이름들

  1-2 tast clean : 새로 빌드할 때 기존파일 어떻게 처리할지

 

2. build.gradle(module) : 모듈의 빌드 내용

  2-1. id : 플러그인 import

  2-2. buildTypes : release모드 > 실제로 출시 할 때 debug모드 > 개발할 때

  2-3. defaultConfig : 빌드시에 적용되는 설정들 

compileSdk : 어떤 SDK버전으로 앱을 컴파일 할것인가
minSdk : 앱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API레벨
targetSdk : 기본으로 동작 할 SDK 버전

  2-4. dependencies : 앱이 종속되어있는 라이브러리들

 

3. settings.gradle : 라이브러리 혹은 플러그인 소스들 위치 등등의 정보들

  

'IT 꿀팁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기본 개념  (0) 2022.11.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