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꿀팁

[비전공자의 IT기업 생존기] Windows Handle이란 / Handle값 확인하기 feat. process explorer

by IT자니 2022. 6. 18.

Handle값이요..? (자동차 핸들 가격을 검색한다)

대리 : "김사원~ 거기 그 프로세스 핸들값좀 확인해봐"

자니 : "메..?(핸들을 구매하시려나...이걸 왜 나한테 시키지)"


안녕하세요! 자니입니다

 

오늘은 윈도우 핸들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T 회사에서 흔하게 쓰이는 윈도우 핸들값 자니는 처음 들었을 때 핸들이 뭔지도 몰랐답니다😅

 

회사에서 핸들값을 확인해보라고 한다면 그건 자동차 핸들값이 아닌 ㅎ(아재개그 미안..) 윈도우 핸들값입니다!!

 

오늘은 핸들값이 무엇인지 그리고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Windows Handle이란

자 windows handle이란 처음 들었을 때 약간 자동차의 핸들도 떠오르고 뭔가 어떤것을 다루기위해 필요한 것이란 느낌이 들지않으신가요?

 

그 둘은 전체적으로 보면 비슷한 느낌입니다.

 

자동차 핸들은 자동차를 사용하기위해 사용하고 windows handle은 시스템 핸들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가 실행되게 되면 필요한 데이터의 정보를 담고있는 주소에 접근한 후 그 데이터를 사용하게됩니다.

 

그런데 이 데이터의 접근 권한을 프로세스에 직접 주면 보안의 구멍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 데이터에 주소를 정수로 나타낸 값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이 핸들값을 API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달합니다.

 

참고로 이러한 핸들값은 핸들테이블이라는 곳에 관리되는데 이러한 핸들이나 핸들테이블은 OS에서 관리합니다.

 

이러한 핸들값에 대해서 삭제한다거나 불러오는 방법들이 있지만 개발직무가 아닌 분들은 이정도 까지만 알아도 바로 업무에 적용 하실 수 있습니다!

 

Windows Handle값 쉽게 확인하기 with process explorer

핸들값을 확인하는 수많은 방법이 있지만 저는 가장 쉬운방법으로 process explorer를 추천드립니다!

 

메인 화면

이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와있는 드라이버들이나 실행된 프로세스들 그리고 프로세스에서 실행하고있는 라이브러리파일들 등등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일단 한번 설치해두면 그냥 실행만 시켜주면 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이용하고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 한 후 핸들값을 보고싶은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저는 카카오톡으로 하겠습니다.

 

 

실행되어있는 kakaotalk.exe

 

참고로 카카오톡이 저렇게 진한 보라색으로 되어있는 이유는 보호되고 있는 프로세스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는 핸들값 위치를 확인할거기때문에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제 저 카카오톡 프로세스를 더블클릭하면 이러한 창이 뜨게됩니다.

기본 속성 창

 

상단의 탭에서 Performance를 클릭 해 주면 여러가지 자세한 값들이 나옵니다.

핸들값

여기서 우측하단부분에 핸들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개발팀에서 핸들값좀 확인해주세요~ 하면 이 값을 불러주면 되는거랍니다.

 

이 프로그램은 그냥 구글링만해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고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링크를 남겨드립니다.

 

process explorer 다운로드 경로:

 

마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는 링크입니다.

 

해당 링크로 들어가서 설치를 진행해주면 아주 간편하게 바로 실행만 해주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툴의 편리한 세팅방법은 다음 시간에 따로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무리

비전공자가 IT기업에서 살아남기 첫 게시물인데요 앞으로 이렇게 업무상에서 흔하게 필요한 지식인데 

 

비전공자가 빠르게 캐치하지 못할 법한 내용을 남길 예정입니다!!

 

조금 더 스킬업을한다면.. 코딩 기초 게시물도 올릴지도?

 

앞으로 더 발전할 자니를 기대해주세요!!

 

 

'IT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I (URL, URN)  (0) 2022.11.13
PORT  (0) 2022.11.07
TCP/UDP  (0) 2022.11.03
IP  (0) 2022.11.03
자니의 IT 꿀팁 기록 시작합니다  (0) 2022.06.15

댓글